수운영 및 기술진단

상수


  • 운영관리 Total Solution

    1) 블록시스템 핵심요소

    블록시스템 운영의 핵심요소는 상수도의 3대목표인 수량, 수질, 수압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망정비와 누수점검을 위한 활동 도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음

    2) UIS 구축

    OO광역시는 도로, 상하수도 등 도시기반시설의 종합적관리와 각종 재난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 수립의 필요로 지상 및 지하의 각종시설물과 관련대장 정보를 지형, 지적 등의 도면정보와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1998년부터 UIS(Urban Information System)사업을 추진

    3) 3D 상수관망 구축 필요성

    3D 상수관망은 GIS 기반으로 구축되므로 이에 따른 지반고를 활용하여 중요지점에 대한 수압측정결과와 연계하여 실시간 동수두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고수압지대의 누수발생, 이상수압발생지점과 저수압지대의 출수불량에 따른 민원발생 예상 등을 유출할 수 있음

    또한 감압변과 가압장 설치시 활용가능성이 증대

    4) 기대효과

    기존 UIS에 커스터마이징을 거쳐 3D 상수관망 구축가능 > 실시간 동수두 및 누수발생, 출수불량 파악

    5) OO 상수도사업본부 3D 관망도 구축 단계

    1단계 기존 UIS 분석 : UIS가 GIS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으므로 연계방안 분석
    2단계 항공사진 구매 : OO상수도 사업지역을 포괄할 수 있는 고해상도 항공사진 구매
    3단계 UIS 커스터마이징 : UIS에 내재되어 있는 빅데이터를 3D화 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 약 0.9억 커스터마이징 비용(항공사진 별도)

    블록시스템 개요도 - 평면과 3D 예시

    1) 통상의 블록시스템 개요

    2) 3D 관망도 개요

    GIS를 이용한 3D 관망도 분석 - 1블럭

    GIS를 이용한 지형 표고 분석

    GIS 구축자료와 포털맵 위성사진과의 결합으로 3D 관망도 구축

  • 사업개요

    빗물 이용시설은 20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도 기준으로 체육시설 10개소, 공공 청사 14개소, 공장 및 상가 77개소, 아파트 72개소, 학교시설 39개소 등 총 212개소가 전국에 설치되었습니다.

    대상 시설별 시설 규모를 살펴보면, 공장 및 상가의 저류조 용량이 2만1천439m2으로 가장 많고, 아파트 1만9천534m2, 체육시설 5천427m2, 학교시설 4천632m2, 공공청사 3천13m2순으로, 총 저류용량은 5만4천44m2으로 연간 65만2천m2의 빗물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 사업개요

    한번 사용한 물을 어떤 방식 또는 형태로든 한번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물을 중수라 하며 중수도는 Water Recycling Systems을 포함하는 모든 물의 재이용 시설로서 미국에서는 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일본에서는 배수 재이용 또는 중수도라는 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수도는 대형건물과 가정의 생활오수는 물론, 넓은 의미로 하수처리장 처리수, 산업폐수 처리 수 등의 오폐수 처리수를 모두 포함합니다. 중수도 시설은 꾸준히 증가되어 2008년 기준으로 숙박 및 목욕장업 16개소, 공장시설 41개소, 기타시설 128개소, 비의무 대상시설 74개소 등 총 259개소가 전국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중수도 총 시설용량은 204만 8천 m2/일로 대규모 점포, 업무, 교육, 문화, 발전, 방송, 운수, 의료 등 기타시설이 개별 시설용량은 적으나 개소수가 많아 전체시설용량 의 63%를 차지하는 128만 3천m2/일로 가장 많습니다.

    중수도 분류

    1) 개별순환방식(단독이용방식)

    단축 건축물이나 공장의 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합니다. 수세식 화장실 용수, 냉각용수, 청소용수 등에 중수를 사용합니다.

    2) 지역순환방식

    인접한 두 개 이상의 복합건축물 혹은 공동주택(아파트 단지)등 도시재개발 지역이나 대규모 공동 주택 단지의 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여 해당 구역 내에서 중수도로 이용합니다. 즉 하나의 중수처리시설로 인한 다수의 시설물에 중수를 공급합니다.

    3) 광역순환방식

    하수처리수나 공단폐수를 용도에 맞게 한번 더 처리한 후, 중수로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원수는 보통 하수나 공장폐수 등 다양하여 연중 수량변화가 없어 안정적으로 중수를 공급합니다.

    4) 조합형 순환방식

    지역에 따라서는 경제적으로 근거리에서 오염이 그다지 심하지 않은 상태의 물을 충분히 취수하는 것이 가능할 때 이것을 원수로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때가 있습니다. 광역순환방식은 유지관리, Scale merit, 슬러지 처리 등에서 유리하고, 개별 순환방식과 지역순환방식은 보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느 방식을 선택하는가 하는 것은 중수도 사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각 건축물이나 시설물에 있어서 개별순환방식으로 시작하여 몇 개의 시설을 연결하여 지역순환방식을 실시하고 다시 확대하여 광역순환방식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그러나 도시개발지역이나 대규모 신축주택단지에 있어서 처음부터 지역순환방식이나 광역순환방식을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